Page 13 - Golf Champion - August 2022
P. 13
던 모습이 자꾸 오버랩 되어 떠오르기 때문이다.
양 프로님께서는 처음 후원을 약속했던 기업이 후원을 포기하자 필자도 이들의 행동에 처음부터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. 몇
주변의 지인들로부터 십시일반의 정성을 모금하기도 했고 필자 년 전 그렇게 건강하던 내 동생이 스트록으로 한쪽 팔과 다리에
에게 연락을 하셔서 취재를 부탁하기도 하셨지만 지난 몇 달을 장애를 겪으면서 그 편견의 벽을 허물게 되었다.
취재여행으로 회사를 비워 일들이 많이 밀려있었던 이유로 현장 누구에게도 언제라도 그런 어려움이 올 수 있다는 사실을 직접
에 가지 못했던 핑계에 미안함이 부끄럽기 까지 했다. 보면서 내 생각의 반성이 있었다.
사우디 돈이 벌리는 잔치인LIV 대회나 PGA Tour, LPGA대회는
열심히 취재를 가면서도 장애우 골프대회에는 취재를 못간 것이 불편한 몸으로 한 손으로 골프를 치거나 의족이나 휠체어에 의
내심 고개를 들 수 없게 했기 때문이다. 존해 플레이 하는 선수들의 모습은 성적과 상관없이 그 자체로
큰 감동이다.
미국골프협회(USGA)가 새로 창설해 실시한 1회 US Open 장애 미국골프협회는 대회의 타이틀을 ‘장애’(Disabled)라는 단어 대
인 골프대회가 막을 내렸다. 신 ‘적응하는’ (Adaptive) 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처음에는 이게
초대 챔피언은 한국 남자 프로 골프 회원이며 자폐 스펙트럼 장 무슨 대회인가 의아해하고 그냥 무시했었다.
애의 이승민 선수가 우승했다. ‘할 수 없다는’ 부정적인 의미 대신 ‘상황에 맞게 변화하는’이라는
그리 많은 선수가 참가 한 것은 아니지만 미국골프협회에 장애 어댑티브라는 단어를 타이틀로 선정해 장애인들을 이해하고 한
를 가진 골프선수를 위해 공식 대회를 개최 했다는 것은 미국과 걸음 가까워지게 하는데 마음을 썼다는 것이다.
스포츠의 정신이 담긴 것이라고 생각된다. 이번에 장애인 US오픈에서 좀 더 능동적인 의미로 이 표현을 사
나는 오래전에 팜스프링스 골프장에서 한 팔만을 가지고 골프를 용하면서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지게 될 것 같다”고 말한다.
치는 캐나다인을 만난적이 있다. 장애는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기준이 아니라 다름을 나누는
그리고 많은 골프장에서 의족이나 의수를 착용한 골퍼들이 내 앞 표현이라고 한다.
그룹에서 골프를 치는 모습을 보았다. 이번 미국골프협회의 대회 창설은 보다 뛰어난 의식의 전환이 만
물론 그들은 시간을 좀 끌고 지체되기는 했었지만 18홀을 뒤따 들어낸 참다운 사회적 실천이고 진정한 스포츠 정신이 기반한 것
르며 그들의 용기와 그들이 골프를 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준 이라 생각되어 큰 박수를 쳐주고 싶다.
사회에 감탄한 적이 있다. 끝으로 한국에서 이 대회를 위해 애쓰셨던 양 프로님께,
어디 그뿐이랴. PGA Tour슈라이너 아동병원 골프 대회 현장에 내년 대회에는 꼭 취재를 나가서 작은 힘이나마 장애우들의 힘찬
는 의족과 의수를 하거나 휠체어를 탄 청소년들이 대회장에 나 티샷을 사진에 담고 그들의 감동을 글로 전달해 장애를 가진 모
와 스코어보드를 들고 혹은 경기장 곳곳에서 자원봉사자로 참가 두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. GC
한 모습을 지켜 보았었다.
| | 13